조선 시대 미술영재성의 발달 과정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김홍도와 강세황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이 연구는 조선 후기 풍속화의 대가로 평가되는 김홍도의 미술 성장 과정과 스승이었던 강세황의 교육적 역할을 탐구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 결과, 김홍도의 미술적 성장 과정은 유년기의 미술영재성의 단계, 청소년기의 미술전문성의 단계, 청년기의 미술탁월성의 단계, 장년기의 미술창의성의 단계로 발달되어 간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발달 과정에서 강세황은 유년기 시절 김홍도의 미술영재성을 발견하고 미술을 체계적으로 지도한 교수자이자 김홍도의 새로운 화풍과 독창적 가치를 지지한 비평가, 미술적 전문성이 발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준 후원자, 그리고 시서화를 겸비한 삼절 화가의 귀감으로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술영재에게 있어 교사의 역할이란 교수학습적 측면뿐만 아니라 예술적 동료이자 지지자, 비평가이자 후원자로서의 다면적 측면을 포함함을 시사한다.
주제어:미술영재, 영재성 발달, 영재교사 역할, 김홍도, 강세황
주제어:미술영재, 영재성 발달, 영재교사 역할, 김홍도, 강세황
첨부파일
-
영재교육_31권_3호_423_445.pdf (1.5M)
2회 다운로드 | DATE : 2021-10-12 21:16:13
- 이전글과학고 졸업생들의 과학 창의적 생산성: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교수업 환경, 지적 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21.10.12
- 다음글소외계층 대상 장기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중도포기 변인 분석 21.10.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