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재아동과 초등일반아동의 행복에 대한 개념도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모든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며 영재교육의 목적 중의 하나도 영재 개인의 행복 추구임을 고려할 때, 영재들의 행복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영재아동의 관점에서 인식하는 행복의 내용과 차원은 어떠하며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파악하고자 초등영재아동들과 초등일반아동들이 직접 참여하는 개념도 방법을 통해 두 집단 간의 행복 구성 개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 지역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 2년 이상 재학 중인 초등영재아동 6학년 12명과 같은 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일반아동 6학년 12명을 개념도 참여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아동과 초등일반아동이 인식하는 행복에 대해 각각 57개와 53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둘째, 두 집단 모두 행복을 2개의 차원으로 인식하였다(초등영재아동: 일상적 행복-자아실현적 행복, 정서적 행복-인지적 행복, 초등일반아동: 일상적 행복-자아실현적 행복, 개인적 차원의 행복-사회적 차원의 행복). 셋째, 군집분석 결과는 두 집단 모두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초등영재아동:‘꿈과 미래에 대한 열망과 기대’, ‘지적 호기심과 성취에 대한 희열’, ‘인정욕구에 대한 충족’, ‘타인과의 관계 속 행복’, ‘일상 속 소소한 행복’, 초등일반아동: ‘일상 속 소소한 행복’, ‘성취함에 대한 행복’, ‘타인과의 관계 속 행복’, ‘가족과의 관계 속 행복’, ‘학교생활과 친구와의 관계 속 행복’). 넷째, 인천 지역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초등영재아동 5, 6학년 135명과 같은 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5, 6학년 학생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각 집단의 행복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 초등영재아동은 군집 1(꿈과 미래에 대한 열망과 기대), 초등일반아동은 군집 4(가족과의 관계 속 행복)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영재 여부에 따른 행복 구성 개념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다 실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등영재아동이 행복에 대해 인식하는 차원과 내용 그리고 그에 대한 중요도가 영재교육현장에서 필히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관련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제한적이나마 탐색적인 시도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주제어:초등영재아동, 초등일반아동, 행복, 개념도
주제어:초등영재아동, 초등일반아동, 행복, 개념도
첨부파일
-
영재교육_32권_1호_109_136.pdf (1.1M)
12회 다운로드 | DATE : 2022-04-09 18:59:42
- 이전글초등 과학영재 사사과정에서 과학 탐구 기능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22.04.09
- 다음글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과정에서 추천서의 유의미성 분석 22.04.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