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 핵심역량 개념의 네트워크 구조 탐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8-10-10 12:50 조회 8 댓글 0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미래사회 핵심역량 개념의 네트워크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역량기반 미래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2개의 문헌에서 도출한 56개의 핵심역량 개념을 대상으로 UCINET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과 중심성 분석, 핵심집단(k-core)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사회 핵심역량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41개의 개념들이 하나의 컴포넌트를 형성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심성 분석에서는 의사소통, 정보역량, 창의성, 공동체역량, 문제해결, 글로벌역량, 비판적 사고 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의사소통은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핵심집단 분석결과, 전체 개념 중 21.43%의 개념들이 10-core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핵심부를 형성하였고, 클러스터 분석결과 의사소통, 정보역량, 창의성, 공동체역량, 글로벌역량, 문제해결 등이 상호 연계가 강한 계층적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3호_289_306.pdf (1.3M) 4회 다운로드 | DATE : 2018-10-10 12:50:31
- 이전글 A Case Study on Today Scientists’ Problem Finding to Solving Process and Implication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 다음글 공감 중심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 과학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 연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