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영재교육연구 연구동향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에서는 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시행된 2003년부터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종료된 2017년까지의 최근 15년 국내 영재교육 연구동향을 시기별로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이루어진 관련 연구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3~2017년 간의 ‘영재교육연구’ 학술지 논문 총 515편이었으며, 연구 논문의 기본 요소인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영역(교과), 및 연구방법 등의 4개 대분류에 따라 일차적으로 분류하였고, 각 대분류에 따라 하위 및 세부 변인별로 분류, 분석하였다. 또한, 1차, 2차,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에 따라 2003~2007년, 2008~2012년, 2013~2017년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위의 각 분류틀에 대한 내용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3~2007년에는 학습자 대상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연구가 교육과정, 프로그램 관련 주제의 2/3 이상을 차지했다. 연구영역으로는 수학 및 과학 영역이 절반 이상이었고, 영역일반 연구가 38.5% 비율로 수행되었으며, 양적연구-비실험연구 및 조사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2008~2012년에는 교사관찰추천제가 시작됨에 따라 관련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고, 특정 분야 영재성뿐만 아니라 영역 일반적 영재성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으나, 수학 및 과학영역 연구가 여전히 높은 비율로 이루어졌다. 양적연구-비실험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질적연구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2013~2017년에는 영재성 연구 영역이 다소 확대되어 음악, 미술, 발명분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교사관찰추천제 관련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었다. 또한, 수업개발, 적용 뿐 아니라 거시적 관점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모형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영재교육 지원을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연구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첨부파일
-
영재교육_28권4호_387_414.pdf (595.9K)
13회 다운로드 | DATE : 2019-01-08 20:29:25
- 이전글지능검사 데이터의 분석에 근거한 초등학교 영재학생의 출현 비율 추정 19.01.08
- 다음글대학과정선이수제(AP) 수업 및 제도에 대한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비교 18.10.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