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영재교육원 선발문항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A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한 선발문항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문항반응이론의 2모수 로지스틱 모형에 근거하여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A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지원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문항은 1단계 지필검사에서 사용한 문항으로 총 37개 문항(검사도구1: 16문항, 검사도구2: 14문항, 검사도구3: 7문항)이고, 영재교육대상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를 산출한 결과 문항난이도에서는 표준오차가 큰 문항들이 있어 영재교육대상자들의 능력수준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들이 검사도구1~3에 걸쳐 모두 나타났으며, 영재교육대상자들이 인식하는 난이도는 검사도구2가 가장 높았고 검사도구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변별도에서는 검사도구1과 2는 적절한 문항들이 60~70%이상 나왔지만, 가장 배점이 높았던 검사도구3의 경우 문항변별도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선발 문항으로서의 적절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출제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의 조절이 필요하며 결과에 따라 검사도구별 배점의 비율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뢰롭고 타당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검사도구 및 문항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첨부파일
-
영재교육_28권4호_485_504.pdf (565.9K)
13회 다운로드 | DATE : 2019-01-08 20:32:42
- 이전글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지난 10년 중학생의 사교육과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 분석 19.04.15
- 다음글논리모형을 활용한 과학영재양성사업의 성과분석: 제2차 과학영재발굴․육성종합계획(’13~’17)을 중심으로 19.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