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영재 학급 학생들의 소집단 STEM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 영재 학급 학생들의 소집단 STEM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
이지애(연세대학교)
김영민(부산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과학영재들이 STEM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STEM 프로젝트 학습을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학습과 관련된 문제점을 추출한 다음, 일반적인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소집단 STEM 프로젝트 학습에 투입하여 개선점을 찾아 모형을 구체화하였다. STEM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한 집단은 2개 집단이며, 모두 과학 중점학교의 과학 영재학급 학생들이다.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일반적인 모형을 실제 STEM 프로젝트 학습에 적용해 본 결과, STEM 프로젝트 학습에서는 그 과정을 잘 유지하도록 교사가 개입해야 하며, 학생들이 관련 정보를 찾고 잘 이해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때때로 스캐폴딩도 필요하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교사가 안내해야 할 문제점들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이 프로젝트 학습의 어떤 단계에서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각 단계에서 교사의 역할을 정교화 한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주제어:과학영재, 교사 역할, STEM 교육,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스캐폴딩
이지애(연세대학교)
김영민(부산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과학영재들이 STEM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STEM 프로젝트 학습을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학습과 관련된 문제점을 추출한 다음, 일반적인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소집단 STEM 프로젝트 학습에 투입하여 개선점을 찾아 모형을 구체화하였다. STEM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한 집단은 2개 집단이며, 모두 과학 중점학교의 과학 영재학급 학생들이다.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일반적인 모형을 실제 STEM 프로젝트 학습에 적용해 본 결과, STEM 프로젝트 학습에서는 그 과정을 잘 유지하도록 교사가 개입해야 하며, 학생들이 관련 정보를 찾고 잘 이해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때때로 스캐폴딩도 필요하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교사가 안내해야 할 문제점들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이 프로젝트 학습의 어떤 단계에서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각 단계에서 교사의 역할을 정교화 한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주제어:과학영재, 교사 역할, STEM 교육,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스캐폴딩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4호_671_690.pdf (1.2M)
7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9:21:06
- 이전글과학영재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의 정책집행 분석: R&E 담당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18.01.08
- 다음글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 및 현직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18.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