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의 정책집행 분석: R&E 담당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영재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의 정책집행 분석: R&E 담당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류춘렬(KAIST)
박경진(KAIST)
정현철(KAIST)
본 연구는 과학고‧영재학교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을 중심으로 R&E 담당교원의 운영 인식을 통해 R&E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불일치 관점에서 R&E 정책집행과정과 현장 정책행위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E 사업은 정책의 비일관성, 정책 어그러짐의 관점에서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불일치를 보이고 있으며, 학교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나서도 여전히 통제중심의 정책설계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R&E 담당교원의 인식조사 결과 과중한 업무부담, 전문가 섭외의 어려움, 장기적 계획 수립의 어려움, 과도한 성과 지향적 운영, 예산의 늦은 지급, 지도교사의 인센티브 부재, 그리고 첨단장비 활용·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부재 등의 문제들은 R&E 사업의 운영을 어렵게 만드는 핵심적인 원인이며, R&E 정책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저해하는 현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제어:과학영재, 창의연구, R&E, 정책집행
류춘렬(KAIST)
박경진(KAIST)
정현철(KAIST)
본 연구는 과학고‧영재학교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을 중심으로 R&E 담당교원의 운영 인식을 통해 R&E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불일치 관점에서 R&E 정책집행과정과 현장 정책행위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E 사업은 정책의 비일관성, 정책 어그러짐의 관점에서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불일치를 보이고 있으며, 학교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나서도 여전히 통제중심의 정책설계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R&E 담당교원의 인식조사 결과 과중한 업무부담, 전문가 섭외의 어려움, 장기적 계획 수립의 어려움, 과도한 성과 지향적 운영, 예산의 늦은 지급, 지도교사의 인센티브 부재, 그리고 첨단장비 활용·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부재 등의 문제들은 R&E 사업의 운영을 어렵게 만드는 핵심적인 원인이며, R&E 정책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저해하는 현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제어:과학영재, 창의연구, R&E, 정책집행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4호_691_715.pdf (1.6M)
12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9:21:56
- 이전글과학영재 진로결정의 개념모델 타당화 및 요구 분석: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18.01.08
- 다음글과학 영재 학급 학생들의 소집단 STEM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 18.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