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 진로결정의 개념모델 타당화 및 요구 분석: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영재 진로결정의 개념모델 타당화 및 요구 분석: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강정하(KAIST)
권경아(KAIST)
석혜은(이화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과학영재 진로결정 개념모델을 타당화 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개념모델 타당화를 위해 과학영재 진로 지원 6개 우수기관 사례조사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결과, 개념모델은 3요소 9요인 27하위요인 모델로 결정되었다. 다음으로, 산출된 개념모델을 바탕으로,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 1, 2, 3학년 850명을 대상으로 한 과학영재 진로결정 요구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과학영재 진로결정 개념모델의 구성요소별 인식(중요도-수행도)에 대한 것이다. 분석은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였고, 이 방법에 따라 네 수준의 인식으로 구분, 요약됐다. 결과,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은 학생의 지적 역량, 자기주도성, 직업관, 자아실현의지, 학교의 탐구학습, 프로젝트식 수업, 연구활동, 상급학교 자료, 그리고 교사의 지도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주제어:진로결정, 개념모델, 요구분석, 과학영재, IPA
강정하(KAIST)
권경아(KAIST)
석혜은(이화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과학영재 진로결정 개념모델을 타당화 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개념모델 타당화를 위해 과학영재 진로 지원 6개 우수기관 사례조사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결과, 개념모델은 3요소 9요인 27하위요인 모델로 결정되었다. 다음으로, 산출된 개념모델을 바탕으로,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 1, 2, 3학년 850명을 대상으로 한 과학영재 진로결정 요구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과학영재 진로결정 개념모델의 구성요소별 인식(중요도-수행도)에 대한 것이다. 분석은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였고, 이 방법에 따라 네 수준의 인식으로 구분, 요약됐다. 결과,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은 학생의 지적 역량, 자기주도성, 직업관, 자아실현의지, 학교의 탐구학습, 프로젝트식 수업, 연구활동, 상급학교 자료, 그리고 교사의 지도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주제어:진로결정, 개념모델, 요구분석, 과학영재, IPA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4호_717_743.pdf (1,007.0K)
13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9:22:54
- 이전글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에 관한 메타분석 18.04.13
- 다음글과학영재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의 정책집행 분석: R&E 담당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18.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