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에 관한 메타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에 관한 메타분석
전경남(고려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ewitt와 Flett(1991)가 개발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를 비교한 15편의 선행연구로부터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세 하위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에 있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에 관한 평균효과크기를 구하였다. 이와 함께 완벽주의의 세 차원에서의 효과크기가 연구참여학생의 학교급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하위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가장 큰 평균효과크기가 관찰되었다. 한편, 하위분석의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교급의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영재학생들의 완벽주의 특성 및 발달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영재학생, 일반학생, 다차원적 완벽주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전경남(고려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ewitt와 Flett(1991)가 개발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를 비교한 15편의 선행연구로부터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세 하위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에 있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에 관한 평균효과크기를 구하였다. 이와 함께 완벽주의의 세 차원에서의 효과크기가 연구참여학생의 학교급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하위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가장 큰 평균효과크기가 관찰되었다. 한편, 하위분석의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교급의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영재학생들의 완벽주의 특성 및 발달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영재학생, 일반학생, 다차원적 완벽주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1호_1_21.pdf (997.9K)
10회 다운로드 | DATE : 2018-04-13 16:26:50
- 이전글발명 ․ 특허 재능학생들의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및 낙관적 자기대화와의 관계 18.04.13
- 다음글과학영재 진로결정의 개념모델 타당화 및 요구 분석: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18.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