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 ․ 특허 재능학생들의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및 낙관적 자기대화와의 관계
페이지 정보

본문
발명 ․ 특허 재능학생들의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및 낙관적 자기대화와의 관계
김다인(중앙대학교)
안도희(중앙대학교)
본 연구는 발명 ·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릿의 하위요인 구조(흥미의 일관성, 노력의 지속성)와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향상가능성 신념, 항상성 신념) 및 낙관적 자기대화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발명 ·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총 34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2명을 제외한 308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그릿의 하위요인 구조는 2요인으로 나타났으나, 두 요인 간 상관계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낙관적 자기대화는 노력의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낙관적 자기대화가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노력의 지속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항상성 신념 모두 흥미의 일관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발명 교육을 담당하는 학교 교사들에게 발명 · 특허 재능 학생들의 그릿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발명 · 특허 재능학생,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대화
김다인(중앙대학교)
안도희(중앙대학교)
본 연구는 발명 ·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릿의 하위요인 구조(흥미의 일관성, 노력의 지속성)와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향상가능성 신념, 항상성 신념) 및 낙관적 자기대화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발명 ·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총 34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2명을 제외한 308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그릿의 하위요인 구조는 2요인으로 나타났으나, 두 요인 간 상관계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낙관적 자기대화는 노력의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낙관적 자기대화가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노력의 지속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항상성 신념 모두 흥미의 일관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발명 교육을 담당하는 학교 교사들에게 발명 · 특허 재능 학생들의 그릿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발명 · 특허 재능학생,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대화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1호_23_42.pdf (1.4M)
5회 다운로드 | DATE : 2018-04-13 16:42:02
- 이전글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18.04.13
- 다음글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에 관한 메타분석 18.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