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페이지 정보

본문
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윤소영(인천대학교)
한기순(인천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청소년이 나타내는 완벽주의의 속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영재의 다양한 특성이 반영된 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영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과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요인과 문항을 추출하였고, 기존 완벽주의 척도(F-MPS, H-MPS, APS-R, PI)에서 같은 내용을 묻거나 동일한 문장이 중복되지 않도록 완벽주의 문항을 수집하여 추가하였다. 선정된 92개의 예비 기초문항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수에 대한 민감성과 반추’, ‘가혹한 자기 평가’, ‘지각된 주변의 기대’, ‘탁월성의 추구’, ‘타인에 대한 높은 기준’, ‘긍정적 지연과 계획성’의 6개 하위요인이 산출되었고 문항 선정 과정을 거쳐 최종 문항 36개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영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고, 한국판 PI의 하위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는 영재의 특성 뿐 아니라 우리의 사회・문화적 실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고 이를 타당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영재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영재, 완벽주의, 척도 개발, 타당화
윤소영(인천대학교)
한기순(인천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청소년이 나타내는 완벽주의의 속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영재의 다양한 특성이 반영된 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영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과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요인과 문항을 추출하였고, 기존 완벽주의 척도(F-MPS, H-MPS, APS-R, PI)에서 같은 내용을 묻거나 동일한 문장이 중복되지 않도록 완벽주의 문항을 수집하여 추가하였다. 선정된 92개의 예비 기초문항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수에 대한 민감성과 반추’, ‘가혹한 자기 평가’, ‘지각된 주변의 기대’, ‘탁월성의 추구’, ‘타인에 대한 높은 기준’, ‘긍정적 지연과 계획성’의 6개 하위요인이 산출되었고 문항 선정 과정을 거쳐 최종 문항 36개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영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고, 한국판 PI의 하위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는 영재의 특성 뿐 아니라 우리의 사회・문화적 실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고 이를 타당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영재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영재, 완벽주의, 척도 개발, 타당화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1호_43_62.pdf (926.7K)
5회 다운로드 | DATE : 2018-04-13 16:43:37
- 이전글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자율연구지도 사례조사: 세계 명문대를 중심으로 18.04.13
- 다음글발명 ․ 특허 재능학생들의 그릿: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및 낙관적 자기대화와의 관계 18.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