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자율연구지도 사례조사: 세계 명문대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자율연구지도 사례조사: 세계 명문대를 중심으로
강정하(KAIST)
박선희(Univ. of Virginia)
신학수(서울과학고)
홍성호(KAIST)
본 연구는 세계 명문대 및 연구소의 과학영재 자율연구 지도 사례조사 연구로, 과학영재가 미래 글로벌 리더로 지속성장하는 데 모델이 되는 자율연구 지도 전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1을 통해 창의적 과학자 8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과학영재가 지속성장하는 데 영향을 주는 연구활동의 수준 및 범위, 그리고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초안)’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연구 2를 통해 미국 명문대 및 연구소의 과학영재 자율연구 지도 8사례를 대상으로 실제 전문가 랩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영재 연구활동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분석은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초안)’을 분석틀로 활용한 질적 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지속성장을 위한 과학영재 연구활동은 3요소 9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드러났으며, 최종적으로,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최종안)’이 도출되었다.
주제어: 지속성장, 자율연구 지도, 사례조사, 과학영재, 명문대
강정하(KAIST)
박선희(Univ. of Virginia)
신학수(서울과학고)
홍성호(KAIST)
본 연구는 세계 명문대 및 연구소의 과학영재 자율연구 지도 사례조사 연구로, 과학영재가 미래 글로벌 리더로 지속성장하는 데 모델이 되는 자율연구 지도 전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1을 통해 창의적 과학자 8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과학영재가 지속성장하는 데 영향을 주는 연구활동의 수준 및 범위, 그리고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초안)’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연구 2를 통해 미국 명문대 및 연구소의 과학영재 자율연구 지도 8사례를 대상으로 실제 전문가 랩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영재 연구활동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분석은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초안)’을 분석틀로 활용한 질적 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지속성장을 위한 과학영재 연구활동은 3요소 9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드러났으며, 최종적으로,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최종안)’이 도출되었다.
주제어: 지속성장, 자율연구 지도, 사례조사, 과학영재, 명문대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1호_63_89.pdf (859.3K)
8회 다운로드 | DATE : 2018-04-13 16:45:22
- 이전글과학고 졸업생들의 초등학교부터 현재까지 진로 선택과정 추적 연구 18.04.13
- 다음글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18.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