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평가자 인식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평가자 인식 연구
채유정(한국과학기술원)
이성혜(한국과학기술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선발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총 9명의 평가자가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인터뷰는 약 40분~1시간 30분간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총 4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인터뷰 내용은 전사 후 분석되었다. 평가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관찰추천제와 관련하여 평가자들은 교사 추천서 및 체크리스트의 낮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지적하였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자체 내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층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평가하는 등, 직접 학생을 관찰, 평가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선발 전형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교사추천서 및 체크리스트를 보완하여 객관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면접 평가 시 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형 요소 중 일부로 평가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 하였다. 반면 사이버교육의 신뢰성, 객관성, 형평성 문제와 사교육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한 선발 평가를 각 영재교육 기관에서 실행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요건 및 필요한 지원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주제어: 사이버교육, 온라인교육, 교육 후 선발, 영재 선발, 장기 관찰
채유정(한국과학기술원)
이성혜(한국과학기술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선발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총 9명의 평가자가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인터뷰는 약 40분~1시간 30분간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총 4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인터뷰 내용은 전사 후 분석되었다. 평가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관찰추천제와 관련하여 평가자들은 교사 추천서 및 체크리스트의 낮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지적하였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자체 내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층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평가하는 등, 직접 학생을 관찰, 평가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선발 전형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교사추천서 및 체크리스트를 보완하여 객관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면접 평가 시 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형 요소 중 일부로 평가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 하였다. 반면 사이버교육의 신뢰성, 객관성, 형평성 문제와 사교육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한 선발 평가를 각 영재교육 기관에서 실행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요건 및 필요한 지원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주제어: 사이버교육, 온라인교육, 교육 후 선발, 영재 선발, 장기 관찰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1호_109_131.pdf (1.2M)
7회 다운로드 | DATE : 2018-04-13 16:48:55
- 이전글Renzulli의 격자무늬 이론 기반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18.04.13
- 다음글과학고 졸업생들의 초등학교부터 현재까지 진로 선택과정 추적 연구 18.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