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zulli의 격자무늬 이론 기반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페이지 정보

본문
Renzulli의 격자무늬 이론 기반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신민(중앙대학교)
안도희(중앙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Renzulli의 격자무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지역의 중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동일 지역의 550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을 제외하고 예비검사 295명, 본검사 469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분석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개 하위요인이 최종 도출되었다. 둘째, 수렴 타당도 검증을 통해 ‘상호인지 영재성검사’의 5개 하위 요인들은 ‘창의적 성향’, ‘몰입’, ‘희망’ 변인과 ‘그릿’의 하위 요인 중 ‘노력의 인내’ 요인, ‘목표지향성’ 요인의 하위 요인 중 ‘숙달목표 지향성’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영재성 유무에 따른 ‘상호인지 영재성’의 하위 요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의 하위 요인들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유의미하게 변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교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Renzulli의 격자무의 이론을 기반으로 개발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는 향후 영재학생을 선발하고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Renzulli의 격자무의 이론,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 영재판별, 영재의 비인지적 특성
신민(중앙대학교)
안도희(중앙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Renzulli의 격자무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지역의 중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동일 지역의 550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을 제외하고 예비검사 295명, 본검사 469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분석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개 하위요인이 최종 도출되었다. 둘째, 수렴 타당도 검증을 통해 ‘상호인지 영재성검사’의 5개 하위 요인들은 ‘창의적 성향’, ‘몰입’, ‘희망’ 변인과 ‘그릿’의 하위 요인 중 ‘노력의 인내’ 요인, ‘목표지향성’ 요인의 하위 요인 중 ‘숙달목표 지향성’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영재성 유무에 따른 ‘상호인지 영재성’의 하위 요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의 하위 요인들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유의미하게 변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교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Renzulli의 격자무의 이론을 기반으로 개발한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는 향후 영재학생을 선발하고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Renzulli의 격자무의 이론, 상호인지 영재성 검사, 영재판별, 영재의 비인지적 특성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1호_133_162.pdf (1.1M)
14회 다운로드 | DATE : 2018-04-13 16:50:33
- 이전글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영재교육의 의미: 메타포 분석을 통하여 18.07.26
- 다음글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평가자 인식 연구 18.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