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분석을 통한 R&E 프로그램의 지도형태에 따른 특성 비교
페이지 정보

본문
연구보고서 분석을 통한 R&E 프로그램의 지도형태에 따른 특성 비교
정현철(KAIST 과햑영재교육연구원)
류춘렬(KAIST 과햑영재교육연구원)
박경진(KAIST 과햑영재교육연구원)
R&E 활동 후 학생들이 작성한 연구보고서는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작성한 산출물로서 연구 과정 전반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산출물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작성한 연구보고서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R&E 지도형태에 따라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및 연구 세미나를 통해 보고서 분석을 위한 평가 기준을 설정한 후 최근 2년 동안 작성된 연구보고서 403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R&E 지도형태에 따라 교사 지도형, 교수 자문형, 교수 지도형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지도형 연구는 학생들의 지식수준, 흥미를 고려한 주제 설정을 통해 연구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연구 수행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학습 과정 중심’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었다. 한편, 교수 지도형 연구는 비록 학생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최신의 연구주제를 설정하였지만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적절한 연구 설계를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 결과 중심’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보고서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R&E 프로그램의 지도형태에 따라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제어:R&E, 지도형태, 연구보고서, 교사 지도형 연구, 교수 지도형 연구
정현철(KAIST 과햑영재교육연구원)
류춘렬(KAIST 과햑영재교육연구원)
박경진(KAIST 과햑영재교육연구원)
R&E 활동 후 학생들이 작성한 연구보고서는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작성한 산출물로서 연구 과정 전반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산출물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작성한 연구보고서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R&E 지도형태에 따라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및 연구 세미나를 통해 보고서 분석을 위한 평가 기준을 설정한 후 최근 2년 동안 작성된 연구보고서 403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R&E 지도형태에 따라 교사 지도형, 교수 자문형, 교수 지도형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지도형 연구는 학생들의 지식수준, 흥미를 고려한 주제 설정을 통해 연구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연구 수행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학습 과정 중심’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었다. 한편, 교수 지도형 연구는 비록 학생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최신의 연구주제를 설정하였지만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적절한 연구 설계를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 결과 중심’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보고서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R&E 프로그램의 지도형태에 따라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제어:R&E, 지도형태, 연구보고서, 교사 지도형 연구, 교수 지도형 연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2호_185_202.pdf (756.6K)
2회 다운로드 | DATE : 2018-07-26 21:26:55
- 이전글초등영재 및 일반학생이 지각한 가정환경유형과 정서지능에 관한 비교연구 18.07.26
- 다음글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영재교육의 의미: 메타포 분석을 통하여 18.07.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