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재 및 일반학생이 지각한 가정환경유형과 정서지능에 관한 비교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초등영재 및 일반학생이 지각한 가정환경유형과 정서지능에 관한 비교연구
이미순(대구대학교)
본 연구는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이 지각한 가정환경과 정서지능을 비교하고자,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초등학생(n=71)과 일반학생(n=80)을 대상으로 복합가정 질문지(Rathunde, 1989; 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1)와 정서지능검사(문용린, 1999)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환경을 유형으로 구분하기 위해, ‘지지’와 ‘자극’ 차원을 기준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영재는 자신의 가정환경을 분화가정과 복합가정으로 지각한 반면, 일반학생은 통합가정 및 분화가정으로 지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영재성과 가정환경유형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초등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정서조절 요인을 제외한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가정환경유형에 따른 정서지능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복합가정과 분화가정이 단순가정과 통합가정보다 정서지식활용 요인을 제외한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환경 및 가정환경유형을 근거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영재성 그리고 정서지능을 증진하는 가정환경과 부모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주제어:Csikszentmihalyi의 가정환경유형, 영재성, 정서지능
이미순(대구대학교)
본 연구는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이 지각한 가정환경과 정서지능을 비교하고자,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초등학생(n=71)과 일반학생(n=80)을 대상으로 복합가정 질문지(Rathunde, 1989; 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1)와 정서지능검사(문용린, 1999)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환경을 유형으로 구분하기 위해, ‘지지’와 ‘자극’ 차원을 기준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영재는 자신의 가정환경을 분화가정과 복합가정으로 지각한 반면, 일반학생은 통합가정 및 분화가정으로 지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영재성과 가정환경유형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초등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정서조절 요인을 제외한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가정환경유형에 따른 정서지능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복합가정과 분화가정이 단순가정과 통합가정보다 정서지식활용 요인을 제외한 정서지능 하위요인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환경 및 가정환경유형을 근거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영재성 그리고 정서지능을 증진하는 가정환경과 부모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주제어:Csikszentmihalyi의 가정환경유형, 영재성, 정서지능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2호_203_222.pdf (770.4K)
6회 다운로드 | DATE : 2018-07-26 21:27:59
- 이전글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변인별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18.07.26
- 다음글연구보고서 분석을 통한 R&E 프로그램의 지도형태에 따른 특성 비교 18.07.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