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대상자 선정에서 반성적 사고력의 가능성 탐색
페이지 정보

본문
영재교육대상자 선정에서 반성적 사고력의 가능성 탐색
송은선(인천대학교)
한기순(인천대학교)
본 연구는 영재교육대상자 선정에서 사용되는 검사에 포함된 반성적 사고력 변인이 영재교육대상자 판별에 효과적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재교육대상자 선정에 사용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있는 문제해결력, 공간지각능력, 패턴인식능력과 비교해서 반성적 사고력이 영재교육대상자를 얼마나 잘 판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선발과정에 응시한 학생 795명이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대상자를 선정함에 사용되는 문제해결력, 공간지각능력, 패턴인식능력은 판별에 모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세 예측변인 중에는 공간지각능력의 예측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력, 공간지각능력, 패턴인식능력에 반성적 사고력을 추가하여 판별 분석한 결과 판별함수의 판별력이 개선되었으며, 네 변인 중 반성적 사고력이 가장 예측력이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된 인원과 선발되지 않은 인원이 차이가 커서 전체 인원을 상·하위 10%, 15%, 30%로 분리하여 판별 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반성적 사고능력의 예측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재선발 과정에 타당하고 신뢰로운 구인이 늘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반성적 사고력이 향후 영재교육대상자를 선정하는데 있어 매우 타당하고 유용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영재교육대상자, 반성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영재판별
송은선(인천대학교)
한기순(인천대학교)
본 연구는 영재교육대상자 선정에서 사용되는 검사에 포함된 반성적 사고력 변인이 영재교육대상자 판별에 효과적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재교육대상자 선정에 사용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있는 문제해결력, 공간지각능력, 패턴인식능력과 비교해서 반성적 사고력이 영재교육대상자를 얼마나 잘 판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선발과정에 응시한 학생 795명이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대상자를 선정함에 사용되는 문제해결력, 공간지각능력, 패턴인식능력은 판별에 모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세 예측변인 중에는 공간지각능력의 예측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력, 공간지각능력, 패턴인식능력에 반성적 사고력을 추가하여 판별 분석한 결과 판별함수의 판별력이 개선되었으며, 네 변인 중 반성적 사고력이 가장 예측력이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된 인원과 선발되지 않은 인원이 차이가 커서 전체 인원을 상·하위 10%, 15%, 30%로 분리하여 판별 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반성적 사고능력의 예측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재선발 과정에 타당하고 신뢰로운 구인이 늘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반성적 사고력이 향후 영재교육대상자를 선정하는데 있어 매우 타당하고 유용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영재교육대상자, 반성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영재판별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8권2호_243_258.pdf (778.0K)
8회 다운로드 | DATE : 2018-07-26 21:30:14
- 이전글공감 중심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 과학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 연구 18.07.26
- 다음글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변인별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18.07.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