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페이지 정보

본문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류지영(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김미진(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는 영재성을 발휘할 기회를 갖지 못했거나, 영재선발에서 불리한 지위에 놓여진 집단 중 과학에 재능과 잠재성을 지닌 학생들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89명의 소외계층 잠재적 영재들을 선발하여, 5개월간 3일간의 융합과학 캠프 프로그램과 13번의 학습멘토링을 실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실시 사전과 사후에 자아존중감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학생들 집단에서 자아존중감과 과학에 대한 태도가 교육 프로그램 실시후에 상승하였다. 특히 중학교 2학년 여학생과 3학년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많이 상승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및 모든 중학교 학년에서 긍정적으로 상승하여, 본 교육프로그램은 소외계층 잠재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외계층 영재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연구, 교육프로그램의 조기 중재, 소외계층 학생들을 위한 정의적, 사회적 지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주제어:소외계층 영재, 잠재적 영재,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효과
류지영(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김미진(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는 영재성을 발휘할 기회를 갖지 못했거나, 영재선발에서 불리한 지위에 놓여진 집단 중 과학에 재능과 잠재성을 지닌 학생들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89명의 소외계층 잠재적 영재들을 선발하여, 5개월간 3일간의 융합과학 캠프 프로그램과 13번의 학습멘토링을 실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실시 사전과 사후에 자아존중감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학생들 집단에서 자아존중감과 과학에 대한 태도가 교육 프로그램 실시후에 상승하였다. 특히 중학교 2학년 여학생과 3학년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많이 상승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및 모든 중학교 학년에서 긍정적으로 상승하여, 본 교육프로그램은 소외계층 잠재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외계층 영재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연구, 교육프로그램의 조기 중재, 소외계층 학생들을 위한 정의적, 사회적 지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주제어:소외계층 영재, 잠재적 영재,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효과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4호_527_546.pdf (834.1K)
7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9:14:38
- 이전글중등 과학영재 수업과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 요인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18.01.08
- 다음글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18.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