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감능력과 성공지능의 비교 및 관계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8-01-08 19:17 조회 20 댓글 0본문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감능력과
성공지능의 비교 및 관계 분석
백영선(고려대학교)
손승현(고려대학교)
본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감능력과 성공지능의 차이와 성공지능에 대한 공감능력의 영향이 집단 간에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 89명, 일반학생 94명 총 183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공감능력과 성공지능 모두 영재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여학생과 영재남학생의 공감능력을 비교하면, 오히려 영재남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별과 영재여부에서의 상호작용효과로 인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지능의 하위요인 중 분석적 지능과 관련이 높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공감과 분석적 지능이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초등영재학생보다 일반학생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주제어:영재교육, 성공지능, 공감능력, 여성영재, 초등영재학생
성공지능의 비교 및 관계 분석
백영선(고려대학교)
손승현(고려대학교)
본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감능력과 성공지능의 차이와 성공지능에 대한 공감능력의 영향이 집단 간에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 89명, 일반학생 94명 총 183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공감능력과 성공지능 모두 영재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여학생과 영재남학생의 공감능력을 비교하면, 오히려 영재남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별과 영재여부에서의 상호작용효과로 인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지능의 하위요인 중 분석적 지능과 관련이 높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공감과 분석적 지능이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초등영재학생보다 일반학생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주제어:영재교육, 성공지능, 공감능력, 여성영재, 초등영재학생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4호_587_605.pdf (844.0K) 9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9:17:37
- 이전글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학 진로지향도 및 STEAM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다음글 영재학급, 시도교육청 영재교육원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과학영재교육 수혜자의 인식 차이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