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 방법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 방법에 관한 연구
채유정(KAIST)
이성혜(KAIST)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교육 후 선발 모형을 실제 영재교육원에 적용하고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후 선발 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서류평가 결과, 교육 후 선발 결과와 실제 학생의 수행 결과 간 상관 분석 등을 통해 교육 후 선발 제도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S 사이버영재교육원 교육에 참여하여 선발 과정을 거친 중학교 1~2학년 학생 총 6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25명의 학생들이 본 프로그램의 선발 시스템 및 효과성에 관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는 각 학급에서의 학습 수행 성적과 성별, 사회통합대상자 여부 등을 고려하여 골고루 선정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영재 선발 방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이해도, 공정성, 적절성, 만족도, 지속가능성, 신뢰성 측면에서 기존에 이루어지던 선발 방식(교사관찰추천제)에 비해 교육 후 선발 방식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소개서 및 교사추천서 평가를 기반으로 한 1차 선발 결과(서류평가)와 1학기 수행(최종선발), 2학기 수행 결과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학생이 제출한 자기소개서나 교사 추천의견보다 학생의 6주 간 수행 결과에 의해 선발한 결과가 학생의 이후 18주 교육 수행 결과와 더 큰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후 선발 방식이 본 사이버영재교육원의 선발 방식으로서 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사이버영재교육, 온라인 교육, 교육 후 선발 시스템, 영재 선발, 장기관찰
채유정(KAIST)
이성혜(KAIST)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교육 후 선발 모형을 실제 영재교육원에 적용하고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후 선발 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서류평가 결과, 교육 후 선발 결과와 실제 학생의 수행 결과 간 상관 분석 등을 통해 교육 후 선발 제도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S 사이버영재교육원 교육에 참여하여 선발 과정을 거친 중학교 1~2학년 학생 총 6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25명의 학생들이 본 프로그램의 선발 시스템 및 효과성에 관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는 각 학급에서의 학습 수행 성적과 성별, 사회통합대상자 여부 등을 고려하여 골고루 선정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영재 선발 방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이해도, 공정성, 적절성, 만족도, 지속가능성, 신뢰성 측면에서 기존에 이루어지던 선발 방식(교사관찰추천제)에 비해 교육 후 선발 방식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소개서 및 교사추천서 평가를 기반으로 한 1차 선발 결과(서류평가)와 1학기 수행(최종선발), 2학기 수행 결과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학생이 제출한 자기소개서나 교사 추천의견보다 학생의 6주 간 수행 결과에 의해 선발한 결과가 학생의 이후 18주 교육 수행 결과와 더 큰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후 선발 방식이 본 사이버영재교육원의 선발 방식으로서 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사이버영재교육, 온라인 교육, 교육 후 선발 시스템, 영재 선발, 장기관찰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4호_631_649.pdf (865.0K)
9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9:19:37
- 이전글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 및 현직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18.01.08
- 다음글빅데이터를 활용한 수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학 진로지향도 및 STEAM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18.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