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영재상 정립을 위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페이지 정보

본문
소프트웨어 영재상 정립을 위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장준형 가좌초등학교
신현경 가천대학교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의 도래에 따른 SW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SW영재교육의 목표와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SW영재상 정립을 위한 기반 모델로 ‘ICT기반 창의인재상 모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기반모델은 ‘ICT기반의 창의인재상’으로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 등을 3대 핵심역량으로 정의하였다. 두 번째, SW영재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견조사 참여자들에게 조사할 검사도구의 구성은 ‘컴퓨팅 사고력’, ‘기업가 정신’, ‘사회적 기여’ 등의 특성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각 특성요인별로 7개씩의 특성요소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 의견조사 참여자를 초등교사로 선정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번째, 의견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견조사 참여자들은 연구진이 제안한 3가지 인재 특성요인 중 ‘컴퓨팅 사고력’에 가장 높은 동의수준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SW교육과 영재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동의수준 비교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특성요소들의 경우 경험이 있는 집단의 동의수준이 경험이 없는 집단의 동의수준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주제어:SW영재, SW영재상, SW영재교육, 초등교사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장준형 가좌초등학교
신현경 가천대학교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의 도래에 따른 SW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SW영재교육의 목표와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SW영재상 정립을 위한 기반 모델로 ‘ICT기반 창의인재상 모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기반모델은 ‘ICT기반의 창의인재상’으로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 등을 3대 핵심역량으로 정의하였다. 두 번째, SW영재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견조사 참여자들에게 조사할 검사도구의 구성은 ‘컴퓨팅 사고력’, ‘기업가 정신’, ‘사회적 기여’ 등의 특성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각 특성요인별로 7개씩의 특성요소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 의견조사 참여자를 초등교사로 선정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번째, 의견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견조사 참여자들은 연구진이 제안한 3가지 인재 특성요인 중 ‘컴퓨팅 사고력’에 가장 높은 동의수준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SW교육과 영재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동의수준 비교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특성요소들의 경우 경험이 있는 집단의 동의수준이 경험이 없는 집단의 동의수준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주제어:SW영재, SW영재상, SW영재교육, 초등교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1호_097_118.pdf (778.7K)
16회 다운로드 | DATE : 2017-04-08 12:02:47
- 이전글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비교 17.07.06
- 다음글음악재능 청소년의 음악열정: 음악가치, 음악만족감 및 음악성취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17.04.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