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비교
페이지 정보

본문
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비교
이성혜(KAIST)
채유정(KAIST)
성은모(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일반 학업우수자와 구별되는 영재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영재교육 분야의 오랜 연구주제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를 변별하는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5년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I’ 조사를 위해 수집한 전국 고등학교 재학생 3,988명의 데이터 중 학업우수자(전체 교과목 평균 90점 이상) 268명과 자발적으로 온라인 수학, 과학 영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과정을 이수한 영재 학습자 114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t 검증과 로지스틱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재 학습자는 일반 학업우수자와 비교하여 자기주도학습역량에 있어 탐구적 학습전략, 학습몰입, 지적 호기심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자기주도학습역량요인은 지적 호기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 학업우수자와 구별되는 영재 학습자의 특성을 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주제어:자기주도학습역량, 학업우수자, 영재 학습자, 지적호기심
이성혜(KAIST)
채유정(KAIST)
성은모(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일반 학업우수자와 구별되는 영재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영재교육 분야의 오랜 연구주제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를 변별하는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5년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I’ 조사를 위해 수집한 전국 고등학교 재학생 3,988명의 데이터 중 학업우수자(전체 교과목 평균 90점 이상) 268명과 자발적으로 온라인 수학, 과학 영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과정을 이수한 영재 학습자 114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t 검증과 로지스틱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재 학습자는 일반 학업우수자와 비교하여 자기주도학습역량에 있어 탐구적 학습전략, 학습몰입, 지적 호기심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반 학업우수자와 영재 학습자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자기주도학습역량요인은 지적 호기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 학업우수자와 구별되는 영재 학습자의 특성을 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주제어:자기주도학습역량, 학업우수자, 영재 학습자, 지적호기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2호_123_137.pdf (705.6K)
13회 다운로드 | DATE : 2017-07-06 19:00:45
- 이전글지구과학 천문 영역에서 과학영재들의 질문 유형 분석 17.07.06
- 다음글소프트웨어 영재상 정립을 위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17.04.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