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영재교육대상자 발굴을 위한 평정척도 타당화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인문사회영재교육대상자 발굴을 위한 평정척도 타당화 연구
유경재(한국행동과학연구소)
본 연구는 인문사회분야 영재교육대상자 발굴을 위한 교사평정척도를 타당화한 연구이다. 타당성 분석을 위해 WISC-Ⅲ의 언어성지능이 동작성지능보다 높은 초등 3~6학년 학생 44명과 동작성지능이 언어성지능보다 높은 초등 3~6학년 학생 33명을 가르친 13명의 교사에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가지고 평정하게 했다. 검사 신뢰도를 위해 내적일치도 계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정척도는 Cronbach α=.95였고, 국어, 사회, 도덕 분야의 영재성척도는 각각 Cronbach α=.90, .82, .92로 대체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타당도 분석을 위해 언어성지능이 높은 집단과 동작성지능이 높은 집단의 집단 간 평균점수 차이검증을 한 결과, 하위척도점수들은 언어성지능이 높은 집단이 동작성지능이 높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즉 언어성 지능이 높은 집단이 국어분야 영재성에서 .345점 더 높고, 사회분야 영재성에서 .237점 더 높았으며, 도덕분야 영재성에서도 .309점 더 높았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체 평정척도와 WISC-Ⅲ 하위 지능척도점수와 상관분석을 한 결과, 언어성지능검사 점수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동작성지능검사 점수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문사회분야 영재 평정척도가 언어성지능이 높고 인문사회분야에서 영재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발굴해 주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인문사회분야 영재교육대상자, 인문사회분야 영재 평정척도
유경재(한국행동과학연구소)
본 연구는 인문사회분야 영재교육대상자 발굴을 위한 교사평정척도를 타당화한 연구이다. 타당성 분석을 위해 WISC-Ⅲ의 언어성지능이 동작성지능보다 높은 초등 3~6학년 학생 44명과 동작성지능이 언어성지능보다 높은 초등 3~6학년 학생 33명을 가르친 13명의 교사에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가지고 평정하게 했다. 검사 신뢰도를 위해 내적일치도 계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정척도는 Cronbach α=.95였고, 국어, 사회, 도덕 분야의 영재성척도는 각각 Cronbach α=.90, .82, .92로 대체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타당도 분석을 위해 언어성지능이 높은 집단과 동작성지능이 높은 집단의 집단 간 평균점수 차이검증을 한 결과, 하위척도점수들은 언어성지능이 높은 집단이 동작성지능이 높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즉 언어성 지능이 높은 집단이 국어분야 영재성에서 .345점 더 높고, 사회분야 영재성에서 .237점 더 높았으며, 도덕분야 영재성에서도 .309점 더 높았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체 평정척도와 WISC-Ⅲ 하위 지능척도점수와 상관분석을 한 결과, 언어성지능검사 점수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동작성지능검사 점수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문사회분야 영재 평정척도가 언어성지능이 높고 인문사회분야에서 영재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발굴해 주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인문사회분야 영재교육대상자, 인문사회분야 영재 평정척도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2호_227_250.pdf (784.0K)
14회 다운로드 | DATE : 2017-07-06 19:07:14
- 이전글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영재성, 영재 판별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법 개정 방향의 시사점 18.01.08
- 다음글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17.07.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