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영재성, 영재 판별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법 개정 방향의 시사점
페이지 정보

본문
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영재성, 영재 판별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법 개정 방향의 시사점
최호성 (경남대학교)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한국 영재교육의 현안을 점검하고, 영재교육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을 중심으로 어떤 법 개정 노력을 해야 할 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우선, 영재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역대 정부의 보수나 진보 등과 같은 정치 성향이 영재교육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재교육의 양적 성장이나 질적 고도화의 현장 교육 변화는 정부의 정치 성향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보다는 사교육 문제나 입시정책 등 우리 사회의 교육 현안으로부터 더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지난 15년 동안 한국 영재교육의 변천 과정을 긍․부정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비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진흥법 내용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법 개정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요소들을 포괄할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영재의 정의, 영재의 판별과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고도 영재를 포함한 소외 영재의 발굴과 교육 확대, 영재교육기관의 유형에 따른 정체성 확립 등에 초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주제어:영재성 정의, 영재 판별, 영재교육 정책, 한국 영재교육 변화, 영재교육진흥법, 영재교육 프로그램
최호성 (경남대학교)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한국 영재교육의 현안을 점검하고, 영재교육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을 중심으로 어떤 법 개정 노력을 해야 할 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우선, 영재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역대 정부의 보수나 진보 등과 같은 정치 성향이 영재교육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재교육의 양적 성장이나 질적 고도화의 현장 교육 변화는 정부의 정치 성향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보다는 사교육 문제나 입시정책 등 우리 사회의 교육 현안으로부터 더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지난 15년 동안 한국 영재교육의 변천 과정을 긍․부정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비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진흥법 내용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법 개정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요소들을 포괄할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영재의 정의, 영재의 판별과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고도 영재를 포함한 소외 영재의 발굴과 교육 확대, 영재교육기관의 유형에 따른 정체성 확립 등에 초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주제어:영재성 정의, 영재 판별, 영재교육 정책, 한국 영재교육 변화, 영재교육진흥법, 영재교육 프로그램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3호_255_276.pdf (893.4K)
7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8:56:51
- 이전글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등 영재자녀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인정욕구를 매개로 18.01.08
- 다음글인문사회영재교육대상자 발굴을 위한 평정척도 타당화 연구 17.07.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