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학교 구성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영재학교 구성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이영주(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김영민(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의 재학생, 졸업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과학영재이자 영재교육의 수혜자인 재학생과 졸업생, 핵심 관계자인 교사와 학부모들 간의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과정 반영도 간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에서 그룹 간 인식의 수준에는 차이는 있지만 창의력, 자기관리능력, 사고력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국제감각 및 이해능력, 시민의식, 문화감수성에 대한 중요성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졸업생과 교사의 경우 창의성보다 자기관리능력과 사고력을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학부모 또한 자기관리능력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핵심역량별 교육과정 반영도를 살펴보면, 학부모들이 다른 그룹에 비해 핵심역량별 교육과정 반영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교사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학교구성원들은 핵심역량 중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기초 및 전문지식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도는 높게 인식한 반면, 진로개발능력, 문화감수성, 시민의식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도는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핵심역량별 중요도와 교육과정 반영도간의 차이를 통한 교육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창의력은 재학생들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반면 진로개발능력은 재학생과 학부모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핵심역량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능력은 모든 그룹에서 교육요구도가 높은 반면 대인관계 및 시민의식은 졸업생과 교사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은 학교 구성원(재학생, 졸업생, 교사, 학부모)이 다 함께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그러한 점에서 과학영재학교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원들로부터 과학영재에게 어떠한 핵심역량이 중요한지, 현재 교육에서 어떠한 역량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과학영재, 핵심역량, 과학영재학교, 인식, 교육요구
이영주(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김영민(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의 재학생, 졸업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과학영재이자 영재교육의 수혜자인 재학생과 졸업생, 핵심 관계자인 교사와 학부모들 간의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과정 반영도 간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에서 그룹 간 인식의 수준에는 차이는 있지만 창의력, 자기관리능력, 사고력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국제감각 및 이해능력, 시민의식, 문화감수성에 대한 중요성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졸업생과 교사의 경우 창의성보다 자기관리능력과 사고력을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학부모 또한 자기관리능력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핵심역량별 교육과정 반영도를 살펴보면, 학부모들이 다른 그룹에 비해 핵심역량별 교육과정 반영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교사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학교구성원들은 핵심역량 중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기초 및 전문지식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도는 높게 인식한 반면, 진로개발능력, 문화감수성, 시민의식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도는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핵심역량별 중요도와 교육과정 반영도간의 차이를 통한 교육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창의력은 재학생들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반면 진로개발능력은 재학생과 학부모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핵심역량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능력은 모든 그룹에서 교육요구도가 높은 반면 대인관계 및 시민의식은 졸업생과 교사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은 학교 구성원(재학생, 졸업생, 교사, 학부모)이 다 함께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그러한 점에서 과학영재학교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원들로부터 과학영재에게 어떠한 핵심역량이 중요한지, 현재 교육에서 어떠한 역량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과학영재, 핵심역량, 과학영재학교, 인식, 교육요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7권3호_349_366.pdf (839.2K)
3회 다운로드 | DATE : 2018-01-08 19:00:55
- 이전글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과학영재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18.01.08
- 다음글과학영재용 소프트웨어 코딩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18.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