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페이지 정보

본문
이 경 진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최 진 영 최 나 영 김 지 혜
이화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음악영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영재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교육을 수혜하고 있는 음악영재 103명을 대상으로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요소 즉, 교육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그리고 음악영재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했다. 요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음악영재 교육목표 중 ‘자기의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항목에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의 차이가 컸다. 교육내용에서 ‘클래스 피아노’와 ‘부전공실기’, ‘음악 현장체험’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부전공 실기’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교육방법에서 음악영재들은 ‘학습자의 자율적 선택과 흥미를 추구하는 수업’과 ‘현장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교육평가에서는‘학생들 서로에 대한 상호평가’와 ‘그룹별로 협동해서 공동의 작품이나 연주에 대한 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음악영재들은 ‘실기실/실습실(연습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고등학생들은 실기실뿐 아니라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음악영재교육과정, 교육과정 개발, 요구조사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최 진 영 최 나 영 김 지 혜
이화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음악영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영재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교육을 수혜하고 있는 음악영재 103명을 대상으로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요소 즉, 교육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그리고 음악영재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했다. 요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음악영재 교육목표 중 ‘자기의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항목에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의 차이가 컸다. 교육내용에서 ‘클래스 피아노’와 ‘부전공실기’, ‘음악 현장체험’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부전공 실기’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교육방법에서 음악영재들은 ‘학습자의 자율적 선택과 흥미를 추구하는 수업’과 ‘현장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교육평가에서는‘학생들 서로에 대한 상호평가’와 ‘그룹별로 협동해서 공동의 작품이나 연주에 대한 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음악영재들은 ‘실기실/실습실(연습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고등학생들은 실기실뿐 아니라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음악영재교육과정, 교육과정 개발, 요구조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5권6호_771_797.pdf (917.5K)
4회 다운로드 | DATE : 2016-01-12 12:20:48
- 이전글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 16.01.12
- 다음글국내 사회통합범주 음악영재의 내재적 특성 탐색 14.12.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