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4-05-09 23:47 조회 24 댓글 0본문
[제목]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김홍희 / 인천대학교
한기순 / 인천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58명의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과 선행연구 고찰로부터 101개의 기초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시 240명의 과학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재 청소년용 학업탄력성 척도 문항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로 인천, 경기, 서울, 창원, 사천, 울산 지역의 영재교육원 및 지역영재학급 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11요인 42문항을 추출하였다. 하위요인은 ‘목표의식’, ‘자기이해’, ‘교육적 열망’, ‘학업적 자기조절’, ‘과제집착력’, ‘성공귀인(능력)’, ‘성공귀인(노력)’, ‘대인관계(친구)’, ‘대인관계(부모)’, ‘대인관계(교사)’, ‘낙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척도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고,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결정계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가 학교적응, 회복탄력성, 학업소진 척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내적·외적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주제어:영재 청소년, 학업탄력성, 학교적응, 요인분석
김홍희 / 인천대학교
한기순 / 인천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58명의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과 선행연구 고찰로부터 101개의 기초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시 240명의 과학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재 청소년용 학업탄력성 척도 문항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로 인천, 경기, 서울, 창원, 사천, 울산 지역의 영재교육원 및 지역영재학급 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11요인 42문항을 추출하였다. 하위요인은 ‘목표의식’, ‘자기이해’, ‘교육적 열망’, ‘학업적 자기조절’, ‘과제집착력’, ‘성공귀인(능력)’, ‘성공귀인(노력)’, ‘대인관계(친구)’, ‘대인관계(부모)’, ‘대인관계(교사)’, ‘낙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척도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고,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결정계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가 학교적응, 회복탄력성, 학업소진 척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내적·외적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주제어:영재 청소년, 학업탄력성, 학교적응, 요인분석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4권2호_289_312.pdf (983.2K) 11회 다운로드 | DATE : 2014-05-09 23:47:16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