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페이지 정보

본문
맹 희 주/단국대학교
강 병 직/청주교육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담당 교사들의 연수 현황 및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연수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응답자의 약 49.4%는 예술영재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 없이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초 연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수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 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 내용은 미흡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술영재교육 연수 운영 시 연수지역의 접근성을 고려하고, 연수에 대한 사전 홍보와 정보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셋째,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를 위해 ‘연수강사진의 전문성 확보’와 ‘연수 유형의 다양화’, ‘연수기관 및 연수 운영진의 전문성 확보’가 연수 운영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 측면에서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기초, 심화, 전문 등 연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내용의 다양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환경 측면에서 교통과 연수시설의 편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가 되기 위해서 예술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연수모형과 현장적용이 가능한 연수 커리큘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연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예술영재, 예술영재교육 연수, 전문성, 연수 모형, 연수 프로그램, 연수 환경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4권3호_379_398.pdf (901.7K)
8회 다운로드 | DATE : 2014-06-30 19:09:45
- 이전글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14.06.30
- 다음글초중등 영재학급․교육원의 학생 생활지도 실태 및 과제 14.06.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