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페이지 정보

본문
전병옥/인천대학교
한기순/인천대학교
이 연구는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하여 주목한다.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 사례를 통해 이들이 인식하는 행복 경험과 행복하지 않은 경험, 이들의 행복 조건, 더불어 이들이 행복 관련 부정정서를 줄이고 더 행복하기 위해 하는 노력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므로 영재들에게서 행복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은 그들이 경험하는 강한 행복 경험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것’과 ‘내 힘과 노력으로 이루는 성취의 희열’ 그리고 ‘가족의 신뢰와 사랑, 지지’를 이야기하였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며 두 초등영재아동은 ‘내가 좋아하는 활동으로 마음 다스리기’, ‘될 때까지 하고 또 하기’를 통해 행복하지 않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두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의 행복에 있어 인지적 측면의 지원만큼 정서적 측면의 지원이 중요하며 영재아동의 정서 문제에 부모 변인이 절대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과도한 간섭과 개입이 자녀를 잘 키운다는 것과 구분되는 것임을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현장적 논의점이 탐색되었다.
주제어:행복 경험, 내러티브 탐구, 초등영재
한기순/인천대학교
이 연구는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하여 주목한다.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 사례를 통해 이들이 인식하는 행복 경험과 행복하지 않은 경험, 이들의 행복 조건, 더불어 이들이 행복 관련 부정정서를 줄이고 더 행복하기 위해 하는 노력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므로 영재들에게서 행복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은 그들이 경험하는 강한 행복 경험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것’과 ‘내 힘과 노력으로 이루는 성취의 희열’ 그리고 ‘가족의 신뢰와 사랑, 지지’를 이야기하였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며 두 초등영재아동은 ‘내가 좋아하는 활동으로 마음 다스리기’, ‘될 때까지 하고 또 하기’를 통해 행복하지 않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두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의 행복에 있어 인지적 측면의 지원만큼 정서적 측면의 지원이 중요하며 영재아동의 정서 문제에 부모 변인이 절대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과도한 간섭과 개입이 자녀를 잘 키운다는 것과 구분되는 것임을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현장적 논의점이 탐색되었다.
주제어:행복 경험, 내러티브 탐구, 초등영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4권3호_399_420.pdf (875.1K)
15회 다운로드 | DATE : 2014-06-30 19:11:00
- 이전글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14.06.30
- 다음글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14.06.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