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비교
페이지 정보

본문
[제목]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비교
전성수 / 창원 회원초등학교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특별한 교육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60명의 영재 학생과 69명의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의사소통의 유형과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의사소통의 유형은 ‘과학적 설명’과 ‘과학적 주장’으로 나누고 의사소통의 형태는 ‘글’, ‘수’, ‘표’, ‘그림’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의 전반적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일반 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영역별 결과에서는 ‘설명’ 유형과 ‘그림’ 형태의 차이를 제외한 영역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뛰어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유형과 형태의 상관관계에서 영재 학생은 ‘설명’과 ‘글’, ‘정당화’와 ‘표’의 관계에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일반 학생의 경우 모든 유형과 형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제어:과학적 의사소통능력, SCST, 영재
전성수 / 창원 회원초등학교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특별한 교육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60명의 영재 학생과 69명의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의사소통의 유형과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의사소통의 유형은 ‘과학적 설명’과 ‘과학적 주장’으로 나누고 의사소통의 형태는 ‘글’, ‘수’, ‘표’, ‘그림’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의 전반적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일반 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영역별 결과에서는 ‘설명’ 유형과 ‘그림’ 형태의 차이를 제외한 영역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뛰어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유형과 형태의 상관관계에서 영재 학생은 ‘설명’과 ‘글’, ‘정당화’와 ‘표’의 관계에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일반 학생의 경우 모든 유형과 형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제어:과학적 의사소통능력, SCST, 영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4권1호_149_164.pdf (625.1K)
28회 다운로드 | DATE : 2014-03-13 14:15:58
- 이전글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업소진 비교 및 관계 분석 14.05.09
- 다음글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 발현과정 연구: 과학자의 주관적 경험이 객관적 지식으로 발현하는 자기조직화 과정의 사례 분석 14.03.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