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ㆍ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페이지 정보

본문
[초ㆍ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이진아 / 원정초등학교
유미현 / 아주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중등 영재학생들의 연구윤리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윤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중등 영재학생 180명과 초‧중등 일반학생 180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와 같은 항목에서는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집단으로 하는 탐구활동에서 탐구에 참여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연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장 낮은 의식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영재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연구윤리 의식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영재학생의 교육 분야별 윤리의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수학영재, 정보영재에 따라 ‘연구자의 기본자세’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초등 영재학생과 중등 영재학생 간에는 ‘생각과 표현의 윤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연구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연구 경험 횟수가 많은 경우 연구윤리 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기술, 생명 연구 윤리’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연구경험 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주제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연구윤리 의식, 초ㆍ중등 영재학생, 일반학생, 교육 분야
이진아 / 원정초등학교
유미현 / 아주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중등 영재학생들의 연구윤리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윤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중등 영재학생 180명과 초‧중등 일반학생 180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와 같은 항목에서는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집단으로 하는 탐구활동에서 탐구에 참여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연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장 낮은 의식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영재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연구윤리 의식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영재학생의 교육 분야별 윤리의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수학영재, 정보영재에 따라 ‘연구자의 기본자세’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초등 영재학생과 중등 영재학생 간에는 ‘생각과 표현의 윤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연구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연구 경험 횟수가 많은 경우 연구윤리 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기술, 생명 연구 윤리’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연구경험 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주제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연구윤리 의식, 초ㆍ중등 영재학생, 일반학생, 교육 분야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3권4호_593_614.pdf (842.9K)
5회 다운로드 | DATE : 2013-10-16 17:41:23
- 이전글창의적 인물의 특성과 직업군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인의 암묵적 지식 비교 13.10.16
- 다음글중학교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지구온난화 관련 의사결정 학습의 효과 13.10.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