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 현황 분석: 심화반 교육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 현황 분석: 심화반 교육을 중심으로]
정현철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신윤주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조선희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연차보고서 분석, 원장, 지도교수, 심화반 학생에 대한 설문조사, 원장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심화반 학생수가 사사반 학생수의 약 3배정도 되었다. 심화반 교육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내용에서 지식체계, 흥미 등 4개 항목이 리커르트척도 5점 만점에서 4점을 나타낸 반면에, 인문 및 예술, 봉사정신 등 5개 항목은 4점 미만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과정에서는 사고력 활동, 실험실습 등 5개 항목이 4점을 나타낸 반면에, 자유탐구, 학생 선택권, 체험활동 등 5개 항목이 4점 미만으로 나타났다. 산출물과 학습환경의 항목은 모두 4점 미만을 나타내었다. 학생에 대한 평가는 주로 진급 대상자를 선정하는데 활용하였으며, 교육과정의 개발과 개선은 학생의 흥미를 주로 고려하였다. 원장, 지도교수, 학생 모두 자유탐구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체험활동, 자유탐구, 산출물 제작, 학생을 고려한 학습환경 등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요어: 과학영재, 과학영재교육원, 자유탐구, 체험활동, 과학 산출물
정현철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신윤주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조선희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연차보고서 분석, 원장, 지도교수, 심화반 학생에 대한 설문조사, 원장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심화반 학생수가 사사반 학생수의 약 3배정도 되었다. 심화반 교육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내용에서 지식체계, 흥미 등 4개 항목이 리커르트척도 5점 만점에서 4점을 나타낸 반면에, 인문 및 예술, 봉사정신 등 5개 항목은 4점 미만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과정에서는 사고력 활동, 실험실습 등 5개 항목이 4점을 나타낸 반면에, 자유탐구, 학생 선택권, 체험활동 등 5개 항목이 4점 미만으로 나타났다. 산출물과 학습환경의 항목은 모두 4점 미만을 나타내었다. 학생에 대한 평가는 주로 진급 대상자를 선정하는데 활용하였으며, 교육과정의 개발과 개선은 학생의 흥미를 주로 고려하였다. 원장, 지도교수, 학생 모두 자유탐구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체험활동, 자유탐구, 산출물 제작, 학생을 고려한 학습환경 등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요어: 과학영재, 과학영재교육원, 자유탐구, 체험활동, 과학 산출물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3권2호_215_236.pdf (580.8K)
22회 다운로드 | DATE : 2013-05-20 17:23:34
- 이전글탐색기 과학영재를 위한 동료교수법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13.05.20
- 다음글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13.05.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