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도를 통해서 본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
페이지 정보

본문
[개념도를 통해서 본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
김상우 / 인천대학교
한기순 / 인천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의 개념도를 작성하여 영재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개념구조를 제시하고,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차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영재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여태까지 강조되어 왔던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도덕성, 인성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및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영재학생 초점집단 63명의 브레인스토밍으로 얻어진 진술문들을 종합하여 64개의 최종 진술문을 확정하였고, 이들 진술문은 초점집단 63명 중 다시 선발된 13명의 연구 참여자에 의해 분류, 평정되었다. 그 후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를 작성한 결과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은 총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군집명은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 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 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학생 150명과 일반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각 진술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likert 6점 척도로 표시하게 한 후 두 집단 사이의 인식 차를 살펴본 결과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전무하거나 매우 미미한 반면,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인식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학업부정행위에 관해 더 도덕적인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들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주제어: 영재성, 영재 고등학생, 학업부정행위, 도덕성
김상우 / 인천대학교
한기순 / 인천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의 개념도를 작성하여 영재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개념구조를 제시하고,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차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영재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여태까지 강조되어 왔던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도덕성, 인성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및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영재학생 초점집단 63명의 브레인스토밍으로 얻어진 진술문들을 종합하여 64개의 최종 진술문을 확정하였고, 이들 진술문은 초점집단 63명 중 다시 선발된 13명의 연구 참여자에 의해 분류, 평정되었다. 그 후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를 작성한 결과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은 총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군집명은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 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 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학생 150명과 일반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각 진술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likert 6점 척도로 표시하게 한 후 두 집단 사이의 인식 차를 살펴본 결과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전무하거나 매우 미미한 반면,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인식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학업부정행위에 관해 더 도덕적인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들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주제어: 영재성, 영재 고등학생, 학업부정행위, 도덕성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3권1호_67_87.pdf (937.2K)
9회 다운로드 | DATE : 2013-03-13 14:12:29
- 이전글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13.03.13
- 다음글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3.03.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