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페이지 정보

본문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이 재 호 / 경인교육대학교
박경빈 / 가천대학교
진석언 / 건국대학교
류지영 / KAIST
이상철 / 경기도과학교육원
안성훈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진병욱 / 한국발명진흥회
발명영재가 누구인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정확히 밝히는 일은 발명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새로운 분야로서 그 이론적 근거를 수립하는 단계에 있는 발명영재교육의 기초이론 연구로서 발명영재상의 수립을 염두에 두고 발명영재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수행된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발명영재의 특성을 위계적인 구조로 1차 제시하였고, 이에 대해 발명영재, 학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타당성 검토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Gardner의 미래 마인드 개념을 이론적 틀로 하여 25개 특성요인과 80개의 특성요소로 발명영재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명영재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장기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전문가 검토 및 측정학적 정교화 등의 추가적인 타당화 연구를 통해 발명영재들의 교육을 위한 튼튼한 이론적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영재교육, 발명영재, 미래 마인드
이 재 호 / 경인교육대학교
박경빈 / 가천대학교
진석언 / 건국대학교
류지영 / KAIST
이상철 / 경기도과학교육원
안성훈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진병욱 / 한국발명진흥회
발명영재가 누구인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정확히 밝히는 일은 발명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새로운 분야로서 그 이론적 근거를 수립하는 단계에 있는 발명영재교육의 기초이론 연구로서 발명영재상의 수립을 염두에 두고 발명영재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수행된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발명영재의 특성을 위계적인 구조로 1차 제시하였고, 이에 대해 발명영재, 학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타당성 검토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Gardner의 미래 마인드 개념을 이론적 틀로 하여 25개 특성요인과 80개의 특성요소로 발명영재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명영재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장기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전문가 검토 및 측정학적 정교화 등의 추가적인 타당화 연구를 통해 발명영재들의 교육을 위한 튼튼한 이론적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영재교육, 발명영재, 미래 마인드
첨부파일
-
3_영재교육연구_22권3호_551_573.pdf (852.6K)
18회 다운로드 | DATE : 2012-10-29 13:57:06
- 이전글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12.10.29
- 다음글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12.10.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