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과학영재의 학습 특성과 전술: 주말 물리교실 하늘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경제적,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과학영재의 학습 특성과 전술: 주말 물리교실 하늘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성민 / 서울대학교
전동렬 / 서울대학교
우리나라의 소외된 영재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질적 사례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가난하고 신체적 아픔이 있는 과학영재의 학습 특성과 전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현장인 주말 물리교실을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했고, 참여자와 참여자의 어머니, 초등학교 5학년 때 담임교사와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현지문헌과 자기보고서를 추가로 활용하여 참여자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참여자의 학습 특성은 내적동기와 열등감에서 기인하는 ‘능동적인 학습’과 배척된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배움을 향한 몸부림’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참여자의 학습 전술은 경제적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움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 ‘다양한 학습 경로’과 ‘메타인지적 사고’, 그리고 ‘맞장구치기’의 세 전술을 발견하였다.
주제어: 소외 영재, 과학 영재, 과학 학습 특성, 학습 전술
조성민 / 서울대학교
전동렬 / 서울대학교
우리나라의 소외된 영재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질적 사례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가난하고 신체적 아픔이 있는 과학영재의 학습 특성과 전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현장인 주말 물리교실을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했고, 참여자와 참여자의 어머니, 초등학교 5학년 때 담임교사와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현지문헌과 자기보고서를 추가로 활용하여 참여자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참여자의 학습 특성은 내적동기와 열등감에서 기인하는 ‘능동적인 학습’과 배척된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배움을 향한 몸부림’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참여자의 학습 전술은 경제적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움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 ‘다양한 학습 경로’과 ‘메타인지적 사고’, 그리고 ‘맞장구치기’의 세 전술을 발견하였다.
주제어: 소외 영재, 과학 영재, 과학 학습 특성, 학습 전술
첨부파일
-
11_영재교육연구_22권3호_729_755.pdf (1.3M)
8회 다운로드 | DATE : 2012-10-29 14:57:56
- 이전글초등 영재학생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교우관계 분석 12.10.29
- 다음글역동적 과학 평가를 통한 초등과학 영재들의 전기회로 개념 이해 과정 분석 12.10.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