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들의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탐색
페이지 정보

본문
[영재들의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탐색]
진선홍 / 인천대학교
양태연 /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한기순 / 인천대학교
이 연구는 영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검증해봄으로써 영재의 정서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자살생각의 위험성에 노출된 영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중인 중학생 1~3학년 3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학영재의 자살생각에 대한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CFI=.972, TLI=.966, RMSEA=.058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살생각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 학업스트레스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경로와 우울에서 자살생각, 학업스트레스에서 자살생각의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자살생각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과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영재 청소년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완벽주의적인 특성을 지닌 영재에게 적절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영재, 부적응적 완벽주의, 우울, 학업스트레스, 자살생각
진선홍 / 인천대학교
양태연 /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한기순 / 인천대학교
이 연구는 영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검증해봄으로써 영재의 정서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자살생각의 위험성에 노출된 영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중인 중학생 1~3학년 3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학영재의 자살생각에 대한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CFI=.972, TLI=.966, RMSEA=.058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살생각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 학업스트레스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경로와 우울에서 자살생각, 학업스트레스에서 자살생각의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자살생각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과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영재 청소년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완벽주의적인 특성을 지닌 영재에게 적절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영재, 부적응적 완벽주의, 우울, 학업스트레스, 자살생각
첨부파일
-
13_영재교육연구_22권3호_779_800.pdf (888.7K)
21회 다운로드 | DATE : 2012-10-29 15:02:49
- 이전글수학 ․ 과학 영재의 인식론적 신념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 13.02.04
- 다음글초등 영재학생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교우관계 분석 12.10.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