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
페이지 정보

본문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
유희원 / 서울대학교
함동철 / 평촌고등학교
차현정 / 서울대학교
김민석 / 서울대학교
김희백 / 서울대학교
유준희 / 서울대학교
박현주 / 조선대학교
김찬종 / 서울대학교
최승언 / 서울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영재 학생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의 특징과 학생과 교사의 활동이 이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체 및 모둠별 활동을 영상 촬영, 음성 녹음하였으며 선택한 모둠에 대한 면담을 실시 하고 학생들의 활동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모둠별・개인별 학생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과정을 재구성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 양상과 교사의 역할이 여기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모둠 내에서의 토론이 모둠의 모형 생성 및 발달과정에 기여하며, 표적 모형과 초기모형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개인 모형의 발달 과정이 달라졌다. 모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많을수록 초기 모형은 다양해지고 최종 모형도 더욱 정교하게 나타났으며, 교사는 모형의 생성 및 발달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달의 위상 변화, 과학적 모형, 모형 발달, 모형 수정, 영재 교육
유희원 / 서울대학교
함동철 / 평촌고등학교
차현정 / 서울대학교
김민석 / 서울대학교
김희백 / 서울대학교
유준희 / 서울대학교
박현주 / 조선대학교
김찬종 / 서울대학교
최승언 / 서울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영재 학생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의 특징과 학생과 교사의 활동이 이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체 및 모둠별 활동을 영상 촬영, 음성 녹음하였으며 선택한 모둠에 대한 면담을 실시 하고 학생들의 활동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모둠별・개인별 학생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과정을 재구성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 양상과 교사의 역할이 여기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모둠 내에서의 토론이 모둠의 모형 생성 및 발달과정에 기여하며, 표적 모형과 초기모형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개인 모형의 발달 과정이 달라졌다. 모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많을수록 초기 모형은 다양해지고 최종 모형도 더욱 정교하게 나타났으며, 교사는 모형의 생성 및 발달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달의 위상 변화, 과학적 모형, 모형 발달, 모형 수정, 영재 교육
첨부파일
-
4_영재교육연구_22권2호_291_315.pdf (2.0M)
11회 다운로드 | DATE : 2012-07-18 16:46:35
- 이전글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12.07.18
- 다음글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12.07.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