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조연순 / 이화여자대학교
정지은 / 이대부속초등학교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를 범주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들은 비교적 많았지만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독창성과 유용성과 관련된 인지적 특성으로 정의한 것이 많았다. 창의성의 범주로는 개인, 과정, 산출물, 환경 중에서 개인적 측면에 관련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부분 연구들이 TTCT와 같은 심리측정적 검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창의성 범주가 이론적 배경에서와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우가 있었다. 창의성 수준으로 구분해 볼 때는 대부분 ‘작은 창의성’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창성’과 ‘유용성’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나 설명을 하는 연구는 적었다.
주제어: 창의성, 창의성 교육, 창의성 정의, 창의성 범주, 창의성 수준
조연순 / 이화여자대학교
정지은 / 이대부속초등학교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해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하는가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를 범주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을 정의하고 있는 연구들은 비교적 많았지만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독창성과 유용성과 관련된 인지적 특성으로 정의한 것이 많았다. 창의성의 범주로는 개인, 과정, 산출물, 환경 중에서 개인적 측면에 관련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부분 연구들이 TTCT와 같은 심리측정적 검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창의성 범주가 이론적 배경에서와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우가 있었다. 창의성 수준으로 구분해 볼 때는 대부분 ‘작은 창의성’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창성’과 ‘유용성’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나 설명을 하는 연구는 적었다.
주제어: 창의성, 창의성 교육, 창의성 정의, 창의성 범주, 창의성 수준
첨부파일
-
6_영재교육연구_22권2호_333_352.pdf (827.4K)
32회 다운로드 | DATE : 2012-07-18 16:53:56
- 이전글과학 영재의 역량 탐색 및 역량 사전의 개발 12.07.18
- 다음글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12.07.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