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영재의 역량 탐색 및 역량 사전의 개발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 영재의 역량 탐색 및 역량 사전의 개발]
강성주 / 한국교원대학교
김은혜 / 초림초등학교
윤지현 / 단국대학교
최근 과학 영재 교육 대상자의 선발 제도로 관찰 · 추천제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잠재적 역량이 높은 과학 영재를 파악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발 기준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내적 속성에 대한 변별을 도울 수 있는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사전화하였다. 검증된 선행 역량 사전/모델로부터 역량을 추출하고, 구조화된 설문과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과학 영재의 역량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목표 제시’, ‘계획 수립’, ‘정보
수집 및 분석’, ‘문제 해결’, ‘고차원적 사고’, ‘전문 지식 및 자기 개발’의 6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지적 역량군과 ‘자신감’, ‘성취 지향성’, ‘호기심’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정의적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역량명과 역량에 대한 정의, 핵심 요소, 행동지표와 수준으로 구성된 역량 사전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관찰 · 추천을 통한 잠재적인 과학 영재의 선발 기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역량, 역량 사전, 과학 영재
강성주 / 한국교원대학교
김은혜 / 초림초등학교
윤지현 / 단국대학교
최근 과학 영재 교육 대상자의 선발 제도로 관찰 · 추천제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잠재적 역량이 높은 과학 영재를 파악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발 기준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내적 속성에 대한 변별을 도울 수 있는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사전화하였다. 검증된 선행 역량 사전/모델로부터 역량을 추출하고, 구조화된 설문과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과학 영재의 역량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목표 제시’, ‘계획 수립’, ‘정보
수집 및 분석’, ‘문제 해결’, ‘고차원적 사고’, ‘전문 지식 및 자기 개발’의 6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지적 역량군과 ‘자신감’, ‘성취 지향성’, ‘호기심’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정의적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역량명과 역량에 대한 정의, 핵심 요소, 행동지표와 수준으로 구성된 역량 사전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관찰 · 추천을 통한 잠재적인 과학 영재의 선발 기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역량, 역량 사전, 과학 영재
첨부파일
-
7_영재교육연구_22권2호_353_370.pdf (847.9K)
13회 다운로드 | DATE : 2012-07-18 16:56:28
- 이전글한국의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간 능력의 차이에 관한 연구 12.07.18
- 다음글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12.07.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