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간 능력의 차이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의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간 능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박성선 / 춘천교육대학교
본 연구는 공간능력이 영재학생들을 판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전제하에 한국의 중학교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의 공간능력을 비교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 하여 한국의 중학생들에게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회전의 시각화(Revised PSVT:R)’를 실시하였다. Revised PSVT:R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공간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들보다 공간능력에 있어서 훨씬 우수하였다. 공간 능력에 대한 검사 결과를 확장하여 공간능력과 수학, 과학, 언어 분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공간능력은 수학, 과학, 언어 분야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간능력이 우수한 학생과 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영재학생은 같은 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간능력은 영재학생을 판별하는 중요한 검사도구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영재교육, 공간능력, 공간시각화, 퍼듀 공간시각화 검사, STEM
박성선 / 춘천교육대학교
본 연구는 공간능력이 영재학생들을 판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전제하에 한국의 중학교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의 공간능력을 비교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 하여 한국의 중학생들에게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회전의 시각화(Revised PSVT:R)’를 실시하였다. Revised PSVT:R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공간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들보다 공간능력에 있어서 훨씬 우수하였다. 공간 능력에 대한 검사 결과를 확장하여 공간능력과 수학, 과학, 언어 분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공간능력은 수학, 과학, 언어 분야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간능력이 우수한 학생과 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영재학생은 같은 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간능력은 영재학생을 판별하는 중요한 검사도구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영재교육, 공간능력, 공간시각화, 퍼듀 공간시각화 검사, STEM
첨부파일
-
8_영재교육연구_22권2호_371_386.pdf (845.9K)
14회 다운로드 | DATE : 2012-07-18 17:06:00
- 이전글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12.07.18
- 다음글과학 영재의 역량 탐색 및 역량 사전의 개발 12.07.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