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교육기관 캠프 운영 실태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영재교육기관 캠프 운영 실태 분석
정 현 철 / 조 선 희 / 김 미 영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85개 영재학급, 70개 교육청 영재교육원, 20개 대학 영재교육원을 합한 총 375개 영재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캠프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은 캠프 설계, 캠프 실행, 캠프 결과로 구성하였으며, 캠프 실행은 캠프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산출물, 학습환경으로 세분화 하였다. 캠프 설계에 대한 분석 결과 연구소, 과학관 등의 방문 중심 캠프가 가장 많았고, 여름방학에 1박 2일 이하로 실시되는 기관이 가장 많았다. 캠프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리커르트 5점 척도에서 3.72점을 보였으며, 교수․학습과정은 3.78점, 산출물은 3.77점, 학습환경은 3.58점을 보여 캠프 학습환경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캠프 학습환경은 개방성여부, 다양한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프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다양한 활동 사례 정보의 부족’이 캠프 운영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캠프에서 개방적이고 다양한 환경 및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노력과, 캠프 활동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제어: 과학영재, 캠프,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정 현 철 / 조 선 희 / 김 미 영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85개 영재학급, 70개 교육청 영재교육원, 20개 대학 영재교육원을 합한 총 375개 영재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캠프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은 캠프 설계, 캠프 실행, 캠프 결과로 구성하였으며, 캠프 실행은 캠프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산출물, 학습환경으로 세분화 하였다. 캠프 설계에 대한 분석 결과 연구소, 과학관 등의 방문 중심 캠프가 가장 많았고, 여름방학에 1박 2일 이하로 실시되는 기관이 가장 많았다. 캠프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리커르트 5점 척도에서 3.72점을 보였으며, 교수․학습과정은 3.78점, 산출물은 3.77점, 학습환경은 3.58점을 보여 캠프 학습환경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캠프 학습환경은 개방성여부, 다양한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프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다양한 활동 사례 정보의 부족’이 캠프 운영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캠프에서 개방적이고 다양한 환경 및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노력과, 캠프 활동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제어: 과학영재, 캠프,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1권2호_547_573.pdf (893.1K)
42회 다운로드 | DATE : 2011-07-06 17:28:02
- 이전글How Many Korean Science High‐school Students Find the Same Scientific Problem as Kepler Found in Optics and Physiology? 11.07.06
- 다음글영재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경험 11.07.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