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활동,자아 개념, 과학 전공
페이지 정보

본문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활동,자아 개념, 과학 전공
허 미 숙 / 수서중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성취가 매우 뛰어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이공계 진로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며 성별차를 탐구하는 것이다. 과학고등학교와 국제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여 과학 활동, 과학 학습을 위한 자신의 강점, 과학 전공을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전공 선택 이유로서는 내적 흥미가 가장 비중이 크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과학을 전공으로 선택하지 않으려는 것에는 흥미의 부족보다는 자기효능감의 부족이 더 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외에 과학 학습에 대한 자아개념과 정규 수업 외의 과학 활동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 과학 활동, 자아개념, 과학 전공, 자기효능감, 기대 가치 이론, 성별차
허 미 숙 / 수서중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성취가 매우 뛰어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이공계 진로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며 성별차를 탐구하는 것이다. 과학고등학교와 국제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여 과학 활동, 과학 학습을 위한 자신의 강점, 과학 전공을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전공 선택 이유로서는 내적 흥미가 가장 비중이 크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과학을 전공으로 선택하지 않으려는 것에는 흥미의 부족보다는 자기효능감의 부족이 더 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외에 과학 학습에 대한 자아개념과 정규 수업 외의 과학 활동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 과학 활동, 자아개념, 과학 전공, 자기효능감, 기대 가치 이론, 성별차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0권3호_885_899.pdf (1.1M)
14회 다운로드 | DATE : 2011-01-05 19:06:59
- 이전글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관련지식 조사 연구 11.01.05
- 다음글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Academic Attitudes for Gif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청소년기 영재들의 학업 태도에 대한 국제 비교) 11.0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