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이 지 향/김 동 진/황 현 숙
/박 세 열/백 인 환/박 국 태
장호원중학교/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이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정리해서 묻거나 그대로 안내하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재진술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네, 아니오, 와 같은 단순 확인 단답형 응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기억적 사고 발문-단답형 응답-즉각 피드백 순서가 가장 많았다.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이유가 뭐에요? 왜 그런 거예요? 와 같은 개방적 발문의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을 사용하였고, 설명형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일반학급과 비교하여 지연 피드백은 높게 나타났으나 즉각 피드백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짧은 단어나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답형으로 응답 하였으며, 수업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기억적 사고 발문-문장 형태 단답형 응답-지연 피드백 순서가 많았다.
주제어: 일반학급, 영재학급, 과학수업, 언어적 상호작용,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유형, 학생 응답 유형
이 지 향/김 동 진/황 현 숙
/박 세 열/백 인 환/박 국 태
장호원중학교/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이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정리해서 묻거나 그대로 안내하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재진술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네, 아니오, 와 같은 단순 확인 단답형 응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기억적 사고 발문-단답형 응답-즉각 피드백 순서가 가장 많았다.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이유가 뭐에요? 왜 그런 거예요? 와 같은 개방적 발문의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을 사용하였고, 설명형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일반학급과 비교하여 지연 피드백은 높게 나타났으나 즉각 피드백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짧은 단어나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답형으로 응답 하였으며, 수업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기억적 사고 발문-문장 형태 단답형 응답-지연 피드백 순서가 많았다.
주제어: 일반학급, 영재학급, 과학수업, 언어적 상호작용,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유형, 학생 응답 유형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0권3호_721_741.pdf (947.2K)
21회 다운로드 | DATE : 2011-01-05 17:10:18
- 이전글초등 영재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11.01.05
- 다음글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접근 11.0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