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CNP 모형의 개발과 적용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CNP 모형의 개발과 적용
황 요 한 / 박 종 석
경북대학교 / 경북대학교
창의성은 다양한 사고, 실험 수업, 열린 상황 등의 여러 조건과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으로 CNP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문제발견, 문제구체화, 문제해결 능력 영역을 강조하며, 과학적 문제발견, 통합적 탐구 기능과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포함한다. 개발된 6단계의 CNP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수업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를 별도로 개발하였다. K 대학교 과학영재 교육원 학생들에게 이 모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독창성과 유창성이 향상되었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창의적 문제발견 및 문제구체화, 문제해결 능력이 신장되었다. 이에 개발된 CNP 모형은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CNP(Curiosity Note Program) 모형, 통합적 탐구 기능, 탐구적 과학 글쓰기, 창의성, 과학영재
황 요 한 / 박 종 석
경북대학교 / 경북대학교
창의성은 다양한 사고, 실험 수업, 열린 상황 등의 여러 조건과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으로 CNP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문제발견, 문제구체화, 문제해결 능력 영역을 강조하며, 과학적 문제발견, 통합적 탐구 기능과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포함한다. 개발된 6단계의 CNP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수업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를 별도로 개발하였다. K 대학교 과학영재 교육원 학생들에게 이 모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독창성과 유창성이 향상되었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창의적 문제발견 및 문제구체화, 문제해결 능력이 신장되었다. 이에 개발된 CNP 모형은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CNP(Curiosity Note Program) 모형, 통합적 탐구 기능, 탐구적 과학 글쓰기, 창의성, 과학영재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0권3호_847_866.pdf (2.9M)
71회 다운로드 | DATE : 2011-01-05 19:13:28
- 이전글수학 영재들의 확률 문제 해결 과정 분석: 유추적 사고를 중심으로 11.04.06
- 다음글지식상태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힘에 관한 오개념 11.0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