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언어창작영재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초등학교 언어창작영재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 연구
김 유 선
서울대학교
본 연구는 교육청 글쓰기 대회에서 수상하여 언어영재캠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60명)을 대상으로 언어창작영재들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언어적성, 음악적성이 강점지능으로, 논리․수학적성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수적성은 음악적성과 언어적성으로 나타난 학생의 수가 많았고, 논리․수학적성이 가장 적었다. 논리․수학흥미와 논리․수학성취가 유의수준 p<.01.에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성향은 언어성향과 인간친화성향의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성, 자연친화적성, 인간친화적성은 우수적성과 진로성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과반수 이상(41명, 68%)의 학생이 조기 진로성숙의 특성을 보였다. 언어창작영재들의 성공적인 진로선택을 위해 우수적성에 어울리는 직업의 안내와 진로성향에 맞는 적성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언어창작영재, 적성, 진로성향, 진로성숙도
김 유 선
서울대학교
본 연구는 교육청 글쓰기 대회에서 수상하여 언어영재캠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60명)을 대상으로 언어창작영재들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언어적성, 음악적성이 강점지능으로, 논리․수학적성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수적성은 음악적성과 언어적성으로 나타난 학생의 수가 많았고, 논리․수학적성이 가장 적었다. 논리․수학흥미와 논리․수학성취가 유의수준 p<.01.에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성향은 언어성향과 인간친화성향의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성, 자연친화적성, 인간친화적성은 우수적성과 진로성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과반수 이상(41명, 68%)의 학생이 조기 진로성숙의 특성을 보였다. 언어창작영재들의 성공적인 진로선택을 위해 우수적성에 어울리는 직업의 안내와 진로성향에 맞는 적성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언어창작영재, 적성, 진로성향, 진로성숙도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1권1호_141_161.pdf (733.4K)
28회 다운로드 | DATE : 2011-04-06 17:16:17
- 이전글최우수 여고생은 과학영재교육의 소외 집단인가?: PISA 문항의 과학성취도 상위 10% 고등학생의 과학 정의적 영역의 성차 분석 11.04.06
- 다음글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11.04.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