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원격수업시대 영재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메타분석: 초등 vs. 고등 그리고 교실 vs. 온라인
페이지 정보

본문
이 연구는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차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uglielmino(1977)가 개발한 자기주도학
습능력 검사도구의 하위영역인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 학습에
의 솔선수범 및 독립, 학습에 대한 책임감,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미래지향성, 창의성, 기본학
습능력과 문제해결기술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10편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결과,
의 통계량은 86.32%로 데이터들은 서로 이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랜덤
(Random)효과 분석으로 도출된 전체 효과크기 값은 .679(CI 95% .514~.844, p<.001)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요인에 따라 평균효과크기는 .662~.913(p<.001)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연구대상에
따라 초등학생의 평균효과크기는 .785(CI 95% .608~.961, p<.001), 고등학생의 평균 효과크기는
.473(CI 95% .393~.552, p<.001)으로 초등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평균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
았으며, 수업형태에 따라서 확인해 본 결과 교실수업의 형태가 온라인 수업형태에 비하여 평균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자기주
도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영재교육대상자들이 특징으
로 보이는 자기주도학습 하위요인 및 연령과 수업형태에 따른 차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사와 영재
교육기관들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영재학생, 일반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분석, 교실수업, 온라인 원격수업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uglielmino(1977)가 개발한 자기주도학
습능력 검사도구의 하위영역인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 학습에
의 솔선수범 및 독립, 학습에 대한 책임감,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미래지향성, 창의성, 기본학
습능력과 문제해결기술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10편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결과,
의 통계량은 86.32%로 데이터들은 서로 이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랜덤
(Random)효과 분석으로 도출된 전체 효과크기 값은 .679(CI 95% .514~.844, p<.001)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요인에 따라 평균효과크기는 .662~.913(p<.001)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연구대상에
따라 초등학생의 평균효과크기는 .785(CI 95% .608~.961, p<.001), 고등학생의 평균 효과크기는
.473(CI 95% .393~.552, p<.001)으로 초등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평균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
았으며, 수업형태에 따라서 확인해 본 결과 교실수업의 형태가 온라인 수업형태에 비하여 평균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자기주
도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영재교육대상자들이 특징으
로 보이는 자기주도학습 하위요인 및 연령과 수업형태에 따른 차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사와 영재
교육기관들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영재학생, 일반학생,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분석, 교실수업, 온라인 원격수업
첨부파일
-
영재교육_31권_1호_017_035.pdf (859.4K)
2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49:02
- 이전글과학 분야 비유 생성 사고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활동성 분석 21.04.13
- 다음글온라인 SW영재교육 시행을 위한 플랫폼 선호도 조사연구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