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발명영재를 위한 집단창의성 진단도구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1-07-15 11:25 조회 4 댓글 0본문
이 연구는 사회의 다원화와 복잡화로 인해 융합적 인재들의 협업이 강조되는 시기에 즈음하여 집단창의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집단창의성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연구에서는 발명영재교육 관련 전문가 패널 15인으로부터 집단창의성 진단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집단창의성 구성요소와 개념 체계를 정립하고 자가진단의 예비척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예비척도 문항을 기반으로 그 구조를 탐색하고 확인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1차 연구 결과 집단창의성 진단도구는 2개 변인과 3개 범주에 대하여 12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투입변인에 대해 개인창의성 범주의 3개 문항, 팀 내·외부요인의 7개 문항, 과정변인에 대해 상호연결 요인의 2개 문항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또한 개인창의성, 팀 내·외부요인, 상호연결요인의 관계를 규명하고 준거타당성을 확인한 2차 연구의 결과 개인창의성은 팀 내·외부요인, 상호연결 요인과 팀 내·부요인은 상호연결 요인과 정적 상관를 확인할 수 있었고 상관계수는 지나치게 높거나 낮지 않으면서 유의수준 .01에서 모두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발명교육의 상황을 기반으로 집단창의성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는 측면에서 이론적인 의미를 가지며 집단창의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 연구들과 더불어 객관적이고 양적인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며 집단창의성에 관한 학술지식의 확장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주제어:발명, 발명영재, 집단창의성, 진단도구, 자가진단, 진단도구 개발
주제어:발명, 발명영재, 집단창의성, 진단도구, 자가진단, 진단도구 개발
첨부파일
- 영재교육_31권_2호_251_275.pdf (1.0M) 4회 다운로드 | DATE : 2021-07-15 11:25:49
- 이전글 과학고‧영재학교 에듀테크 활성화 사업의 정책수용성 분석: 학교장의 수용의지를 중심으로
- 다음글 An Analysis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onal-Level Gifted Dancer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