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이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비교하고 부모 의사소통 유형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Y지역 소재 초등 영재 학급
학생 149명과 일반 학급 학생 158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은 일반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높았다. 초등 영재의 부모 의사소통 유형이 일반 학생의 부모 의사소통에 비해 개방형
의사소통이 높고 문제형 의사소통이 낮았으며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은 초등 영재가 일반 학생
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과 정서지능
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의 상관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한 결과 부모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의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에서 부모와 자유롭게, 허용적 분위기에서 생각과
감정을 나누는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키고 자아존중감
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초등 영재, 일반 학생, 부모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차이를 비교하고 부모 의사소통 유형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Y지역 소재 초등 영재 학급
학생 149명과 일반 학급 학생 158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은 일반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높았다. 초등 영재의 부모 의사소통 유형이 일반 학생의 부모 의사소통에 비해 개방형
의사소통이 높고 문제형 의사소통이 낮았으며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은 초등 영재가 일반 학생
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과 정서지능
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의 상관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한 결과 부모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의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에서 부모와 자유롭게, 허용적 분위기에서 생각과
감정을 나누는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키고 자아존중감
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초등 영재, 일반 학생, 부모 의사소통 유형,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_4호_577_599.pdf (870.5K)
1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41:14
- 이전글과학고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학교만족도 및 학교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21.04.13
- 다음글영재교원의 업무 효율성 강화를 위한 영재교육 경력별 어려워하는 업무 유형 분석과 업무 지원 방안 연구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