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종단연구」의 이론모형 및 측정모형 수립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효과성과 사회적 공헌도의 체계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영재교육종단연구」
의 이론적 모형과 측정변인을 설정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와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론모형 및 측정모형을 수립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최종모형에서는 전문적 성취를 넘어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적
성취를 통해 사회와 인류에 기여하는 것을 영재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성 발현 단계를 영재성-전문적 성취-사회공헌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영재성 단계는 아직
성취 형태로 발현되지 않은 잠재력 보유 단계로 지능, 창의성과 같은 일반적 능력과 영역 특수적
능력을 포함하였다. 전문적 성취 단계에서는 영재학교와 고등교육 재학기간 동안의 교육적 성취(성
적, 수상‧연구실적, 진학, 취업 등)와 취업 이후 교육‧연구 분야 또는 기술‧산업 분야에서의 직업적
성취로 구성하였다. 사회공헌 단계에서는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한 성취를 통해 사회에 기여함으로
써 영재성이 최종적으로 발현된다고 설정하였다. 또한 영재성 발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내‧외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환경 요인과 개인의 정의적 특성인 개인내적 요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단계별 모형 설정 결과를 보고하고, 더불어 향후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발전 과제를 제언하였다.
주제어: 영재교육종단연구, 영재학교, 영재성, 영재성 발현, 성과지표
의 이론적 모형과 측정변인을 설정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와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론모형 및 측정모형을 수립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최종모형에서는 전문적 성취를 넘어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적
성취를 통해 사회와 인류에 기여하는 것을 영재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성 발현 단계를 영재성-전문적 성취-사회공헌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영재성 단계는 아직
성취 형태로 발현되지 않은 잠재력 보유 단계로 지능, 창의성과 같은 일반적 능력과 영역 특수적
능력을 포함하였다. 전문적 성취 단계에서는 영재학교와 고등교육 재학기간 동안의 교육적 성취(성
적, 수상‧연구실적, 진학, 취업 등)와 취업 이후 교육‧연구 분야 또는 기술‧산업 분야에서의 직업적
성취로 구성하였다. 사회공헌 단계에서는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한 성취를 통해 사회에 기여함으로
써 영재성이 최종적으로 발현된다고 설정하였다. 또한 영재성 발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내‧외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환경 요인과 개인의 정의적 특성인 개인내적 요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단계별 모형 설정 결과를 보고하고, 더불어 향후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발전 과제를 제언하였다.
주제어: 영재교육종단연구, 영재학교, 영재성, 영재성 발현, 성과지표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_4호_517_538.pdf (1.7M)
2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43:49
- 이전글과학영재교육기관 관리자의 정책인식분석: 정책집행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21.04.13
- 다음글중학교 단위학교 수준 인문사회 영재교육 모형의 개발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