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계발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생애주기별 과학 영재교육의 기여와 문제점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졸업생을 대상으로 회고적 연구를 통해 생애주기 관점에서의 영재교
육 체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성의 발달 경로를 추적조사하기 위해
창의적 성취를 이룬 과학고 졸업생 23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 졸업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영재교육 체제의 적합성과 관련된 다음의 쟁점들이 확인되
었다. 첫째, 공교육 상의 유아단계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영재교육 시스템 부재하여 영재
성 발견 시기와 재능계발을 위한 교육 시기 간의 간극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초중학교 단계
에서 영재들은 학교교육을 통해서 충분한 교육적 도전을 받지 못하며, 비정규교육과정으로 제
공되는 영재교육기회 또한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셋째, 고등학교 단계 전일
제 영재교육기관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이 최대한 계발되는 등 높은 교육적 효과성을 보였으나,
동료 간 경쟁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과 좌절에 대해서는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단계에서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열정이 고등학교 단계 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
다. 다섯째, 사회에서 창의적 성취를 위해 필수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나 영재교육기관에서 충
분히 계발되지 못하는 능력으로 소통과 협업역량이 지목되었다. 여섯째, 졸업생 진로와 관련
하여 수학, 과학 분야의 학문적 훈련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의적 성취를 이룰 수 있
도록 진로의 다양성과 융통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재능계발, 과학기술인재, 창의성
육 체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성의 발달 경로를 추적조사하기 위해
창의적 성취를 이룬 과학고 졸업생 23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 졸업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영재교육 체제의 적합성과 관련된 다음의 쟁점들이 확인되
었다. 첫째, 공교육 상의 유아단계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영재교육 시스템 부재하여 영재
성 발견 시기와 재능계발을 위한 교육 시기 간의 간극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초중학교 단계
에서 영재들은 학교교육을 통해서 충분한 교육적 도전을 받지 못하며, 비정규교육과정으로 제
공되는 영재교육기회 또한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셋째, 고등학교 단계 전일
제 영재교육기관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이 최대한 계발되는 등 높은 교육적 효과성을 보였으나,
동료 간 경쟁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과 좌절에 대해서는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단계에서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열정이 고등학교 단계 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
다. 다섯째, 사회에서 창의적 성취를 위해 필수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나 영재교육기관에서 충
분히 계발되지 못하는 능력으로 소통과 협업역량이 지목되었다. 여섯째, 졸업생 진로와 관련
하여 수학, 과학 분야의 학문적 훈련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의적 성취를 이룰 수 있
도록 진로의 다양성과 융통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재능계발, 과학기술인재, 창의성
첨부파일
-
영재교육_30권_4호_457_486.pdf (1.0M)
3회 다운로드 | DATE : 2021-04-13 20:44:58
- 이전글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멘토 양성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21.04.13
- 다음글과학영재교육기관 관리자의 정책인식분석: 정책집행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21.04.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